
API를 만들기 위해서는 총 3개의 클래스가 필요하다고 한다. 1. Request 데이터를 받을 Dto 2. API 요청을 받을 Controller 3. 트랜잭션, 도메인 기능 간의 순서를 보장하는 Service 나는 기존에 알고 있었던 지식으로는 항상 Service 에서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해야 한다고 들었었고 그렇게 했었다. 하지만 이 저자 분 께서는 Service에선 트랜잭션, 도메인간 순서 보장의 역할만 한다고 한다. "그럼 비지니스 로직은 누가 처리하냐?"라고 반문 한다면 각 영역의 소개를 잠깐 봐야 한다. 1. Web Layer - 흔히 사용하는 컨트롤러와 JSP등의 뷰 템플릿 영역이다. - 이외에도 필터, 인터셉터, 컨트롤러 어드바이스등 외부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전반적인 영역을..

개념 JWT( JSON Web Token)은 정보를 JSON 객체로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간결하고 자체 포함형 방식을 정의한 개방형 표준(RFC 7519)이다. 이 정보는 디지털로 서명되어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다. 서명된 토큰은 내부에 포함된 클레임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공개/개인 키 쌍으로 토큰을 서명하면 해당 서명은 개인 키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만이 서명한 것임을 인증한다. RFC 7519? JSON Web Token (JWT) 표준을 정의하는 문서. RFC 7519 문서는 JWT의 구조, 서명 방식, 유효성 검증, 기타 관련 사항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서 인증과 정보 교환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언제 JSON Web Token을 사용해야 할까?..
- Total
- Today
- Yesterday
- CentOS
- 코테
- 배포
- mysql
- 코딩테스트
- spring
- Java
- 알고리즘
- json
- Query
- 솔루션
- JWT 완전정복
- Oracle
- 청도 미나리
- 젠킨스
- jenkins
- RDBMS
- SpringBoot
- db
- Deadlock
- SQL
- 비양도 후기
- 비양도 리뷰
- 청도 미나리 식당
- SQLD
- 비양도 위치
- JPA
- API
- 배포자동화
- 정규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